콘텐츠로 건너뛰기

동물을 대하던 나의 자세

  • 기준

이건 결코 최근의 나가 아닌 어렸을 적 동심에서 우러나온 어린이적인 행동이었
음을 밝힌다.

이 실험은 밀양시 청도면 구기리에 있는 나의 생가(미영, 호영, 민아, 현우가
참배한 바 있음)에서 이루어졌으며 당시의 실험보고서는 철저히 비밀에 붙여져
존재여부를 알 수 없다.

우선 첫번째 실험은 개미를 하얀 고체 속에 보존했다가 다시 녹였을 때 과연 슈
퍼 개미가 될 것인가 하는 실험이었다.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개미가 많은 곳을 찾는다. (당시 장소는 우물 옆에 있던 아궁이였다)
2. 양초에 불을 켜고 개미를 향해 촛농을 떨어뜨린다.
3. 명중한 개미와 명중하지 않은 개미를 따로 분류, 각각의 반응을 살핀다.
4. 굳은 촛농을 녹였을 때 개미의 반응을 살핀다.

이렇게 했을 때 개미에게 떨어진 촛농은 다음과 같은 3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1) 개미가 온몸으로 촛농을 뒤집어썼다
2) 개미가 촛농 바지를 입었다
3) 개미가 머리에 촛농을 눌러썼다.

각각의 형태에 따른 각각의 반응은 다음과 같았다.
1) 개미가 원형 그대로 보존된다.
2) 그대로 굳어버리지만 개미의 머리는 살아있을 때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므
로 그 개미가 생각을 하고 있는 개미인지 생각을 하고 있지 않은 개미인지, 감
각이 있는 개미인지 감각이 없는 개미인지 알 수 없다.
3) 다리가 발발 움직이다가 서서히 움직이지 않는다. 개미가 잠든 것인지 아닌
지는 알 수 없다.

이 중 특히 1 번의 경우 훗날까지 보존시켰다가 다시 깨어나게 했을 때 지금의
기억을 유지하고 있을 것인가와 2 번의 경우 과연 개미가 느끼는 감각이 어떠했
을지에 대해 대단한 호기심을 느꼈다. 그때 그 개미들을 훗날까지의 유전자 보
존을 위해 남겨두지 못한 것이 몹시 아쉬웠다.

이 실험에 사용되었던 개미들의 유해는 그들의 영혼을 기리며 아궁이의 불에
화장시켜주었다. 녹아내리는 촛농 속에 그들의 모습이 보이지 않은 걸로 보아
이미 승천했을지도 모른다는 추측을 가능케 했다.

나는 이 실험에 참여해준 개미들에게 감사를 느껴 그들에게 성대한 식사를 제
공했다. 우선 개구리를 한 마리 잡았다. 그리고 땅 위에 올려놓고 그 위에 작은
비닐을 덮고 그 비닐을 바닥에 고정했다. 한 시간 후 몇몇 개미들이 개구리의
등 위에 올라가있었고 개구리는 너무도 가려운지 몸부림을 쳤다. 다음날 가보았
을 때 개구리의 두 다리가 사라져있었다. 아마도 간밤에 교통사고라도 났던 모
양이었다. 그 다음날 갔을 땐 다리가 모두 없어져있었고 등에 심한 상처가 있었
다. 깡패들에게 당한 모양이었다. 그 다음날 갔을 땐 개구리가 있던 자리에 개
구리의 척추뼈가 있었으리라 예상되는 지점에 하얀 선이 그려져있었다. 그 다음
날은 아무것도 발견할 수 없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