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사양
노트북( 삼성 센스 600)
– CPU : Pentium 166
– RAM : 128 M
– HARD : 2.1 G
– OS : RedHat 8.0
데스크탑
– CPU : PIII 450
– RAM : 196 M
– HARD : 8 G
– USB HARD : 4 G
– OS : MS-WINDOWS 98
필요한 도구
– ProNFS( 1명의 사용자로 제한된 윈도우용 서버)
============================
처음에는 노트북 하드의 용량이 모자라서 USB 하드를 써보려고 했으나 HOST 칩이 USB 1.0 이라 USB 하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같습니다.
결국 네트워크를 이용한 하드 공유를 할수 없을까 하고 여기저기 뒤져서 NFS 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인터넷을 검색해 보면 대부분 NFS 서버로는 리눅스나 WINDOWS NT 이상이 사용되더군요 그러나 제가 바라는 것은 WINDOWS 98 서버와 리눅스 클라이언트였습니다.
마침 ProNFS 라는 윈도우용 서버 프로그램을 찾아내어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었습니다.
간단하게 순서만 적도록 하겠습니다.
1. USB 하드를 윈도우에 설치한다.
2. ProNFS를 윈도우에 설치한다. (따라오는 설명서를 참고하세요)
3. USB 하드를 export 시킨다.
4. 리눅스 노트북에서 마운트 시킨다.
# mount 192.168.0.1:/f /mnt/nfs -t nfs -o rsize=8192,wsize=8192,hard,intr
이제 사용하면 됩니다. 그런데 약간의 문제가 발생하더군요. 읽고 쓰기를 할때 inode 뭐라고 하는 오류 메시지를 자주 만나게 되더군요. 그래서 Loopback 디바이스를 이용한 ext3 파일 시스템을 nfs 에 만들어서 사용합니다.
1. 커다란 파일을 만듭니다.(잘 안만들어지더군요. 적당한 크기로 알아서 만드세요)
# dd if=/dev/zero of=/mnt/nfs/ext3 bs=1M count=1000
2. Loopback 디바이스를 설정합니다.
# losetup /dev/loop0 /mnt/nfs/ext3
3. 포멧을 합니다.
# mkfs -t ext3 /dev/loop0
4. 사용할 디렉토리에 마운트 합니다.
# mount -t ext3 /dev/loop0 /usr/src
5. 언마운트 하는 방법도 알아야겠군요.
# umount /usr/src
# losetup -d /dev/loop0
# umount /mnt/nfs
자 이제 모자라는 용량을 마음껏 늘릴 수 있습니다.
저는 이렇게 하여 srpm을 컴파일하는데 nfs를 이용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bluejack_AT_hosanna_DOT_net 으로 메일 주시면 아는데까지 답변 드리겠습니다.
– 잔디인형님